공지사항
※ 들어가기에 앞서
언락 시스템을 24.12.11에 포스팅을 했었는데요.
하고 나서 다음날 바로 수정을 했었어요.
큰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니고 생각해보니 DT_unlockContents를 DT_contentsBaseInfo 라고
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모아둔 테이블에 포함해서 진행하는게 더 효율적인것 같아서 수정했어요.
그래서 맞고 틀리고의 문제는 아니고 좀더 효율적인 것을 선택했다고 생각하시면 좋으실것 같아요.
헌데... 독립된 테이블과 통합된 테이블의 효율성에 대해서는 또 맘이 바뀔수 있는 부분이라...
기획은 이래서 어려운것 같아요. 정답이 하나가 아니다보니...
◎ 언락 시스템 (241212)
▪ 언락 시스템이란?
잠겨 있는 콘텐츠의 일부 세부적인 항목들에 대해 잠금 해제하는데 필요한 모든 규칙들을 정립해 놓은 것을 언락 시스템이라고 한다.
▪ 언락 시스템의 개념
1. 언락이 필요한 콘텐츠 별 데이터 테이블에 [unlock] 컬럼 추가
2. unlock 데이터 테이블(DT_unlock)을 생성하여 언락에 필요한 정보 입력
3. 콘텐츠 별 데이터 테이블의 [unlock] 컬럼에 DT_unlock에 있는 언락 인덱스 ID를 입력
4. 언락 인덱스 ID에 입력된 언락 규칙에 따라 잠금 해제
※ 콘텐츠에 대한 언락 정보도 위와 동일하게 진행
▪ 언락 조건
언락 조건은 아래와 같다.
: 추가되는 조건이 있으면 명시할 예정이다.
◦ 언락 조건에 따른 enum값
▪ 언락 데이터 테이블 구조
◦ ContentBaseInfo
: 콘텐츠 관련 기본 정보들이 들어있는 데이터 테이블
◦ unlock
※ 끝
2024.12.11 - [게임 기획 이야기/기획 문서 모음] - 언락 시스템
'게임 기획 이야기 > 기획 문서 모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투 시스템_인디 게임_2024 (2) | 2025.01.15 |
---|---|
스트링 시스템 2024 (0) | 2024.12.28 |
예제로 보는 보상 데이터 테이블 구조 (0) | 2024.12.24 |
보상 시스템_2024 업데이트 (0) | 2024.12.24 |
코코아 플래닛 (Cocoa Planet)_시스템 리스트 및 담당자 정리 (0) | 2024.12.22 |